Global Analysis

스리랑카의 기독교

어떻게 그곳의 교회를 도우며 그들로부터 배울 것인가

Kamal Weerakoon 3월 2014

오늘날 스리랑카의 기독교는 왕성한 동시에 연약하며, 핍박 받고 있다. 긴 내전의 사회적 결과들로 기독교인의 삶은 어려운 상태이다. 불교 민족주의는 복음전도를 식민주의, 회심을 반역이라 이름 붙이고 있다. 교파에 속하지 않은 신생 교회들은 부실 운영과 개인 숭배, 거짓 가르침 등에 연약하다. 기존 교파에 속한 교회들은 신학적 자유주의와 현실 안주의 구습으로 힘겨워하고 있다. 그러나, 위탁된 리더십과 초 교파적인 협력이 미래를 향한 길을 구축하고 있다.

유럽의 식민지화와 주류 교단들

기독교는 유럽 식민주의 시대에 스리랑카에 들어왔다:

  • 1505년, 포르투갈이 천주교를 소개하였다.
  • 1600년대 중반, 네덜란드가 포르투갈을 몰아내고 네덜란드 개혁 교회를 들여 왔다.
  • 1802년 네덜란드가 그들의 영토를 영국에 이양하였다. 영국은 성공회, 감리교, 침례교 및 구세군 교회들을 들여 왔고, 이들은 현재까지 계속해서 복음전도와 교회 개척, 교회 학교, 그리고 사회 봉사 등의 사역을 이어 나가고 있다.

1948년의 독립 이래로, 신할라 족과 타밀 족 간의 내전, 다시 재기된 불교 민족주의, 그리고 신생 독립 교회들이 이끄는 복음주의적 부흥이라는 세 가지 위력이 이러한 유럽 열강의 역사 뒤에 펼쳐지게 되었다.

내전의 사회적 영향

신할라 족과 타밀 족은 스리랑카의 대표적 두 종족이다. 신할라 족은 자신들이 이 나라의 토착 종족이라 여긴다. 타밀 족은 남 인도 지방 타밀나두로부터 내려온 사람들이지만, 스리랑카에서 2천 여 년을 살아왔기에, 자신들은 스리랑카인 타밀족이라고 간주한다.

영국 통치로부터의 독립으로 신할라 민족주의가 떠오르게 되었고, 이는 모든 타밀족의 공적인 ‘성공’ 혹은 ‘특권’들에 대한 분개로 이어졌다. 정부는 신할라 족이 점령하고 있었고, 꾸준하게 신할라 족에게 이익을 주고 타밀 족에게는 불이익을 주는 쪽으로 정책을 제정해갔다.

타밀 족은 이러한 인종적 정책에 불만을 품었다. The Liberation Tigers of Tamil Eelam (LTTE)은 무장 투쟁을 벌여 스리랑카의 북쪽과 동쪽 지방을 타밀 족을 위해 독립된 ‘조국’ (타밀어로 eelam)으로 요구했다. 이 내전은 1983년부터 2009년까지 지속되었으며, 8만에서 10만에 이르는 생명이 희생되었다.

전쟁 동안에, 양측 모두에서는 인권 탄압[1] 언론 통제가 자행되었다:

  • 경찰과 군부는 사법 절차 없이 체포, 심문, 형벌, 심지어는 처형까지도 자행하였다.
  • LTTE는 협박, 암살, 인질 구금 등의 행위를 자행하였다.
  • 독립적 취재는 억압되었다.

따라서 개인적 불만/원한을 해결하기 위해 쉽게 속임수와 폭력이 사용되었다:

  • 정부나 군대의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 또는 이들과 연이 있는 사람들은 그들의 원수를 폭행하거나 암살한 뒤 이 문제를 ‘조용히 덮을’ 수 있었다.
  • 누군가의 부와 사회적 지위는 그들의 성품이나 행위보다는 그들이 가진 사회적 연줄, 그리고 그것을 얼마나 그들 스스로의 이익을 위해 조종하려 하는지에 달려 있다는 사실이 점차적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오늘날, 교회들과 그리스도인들 개개인들은 진리의 모습이신 그 분의 이름으로 문화를 거슬러, 진리와 공의를 위해 맞설 임무에 직면해 있다:

  • 이는 진리를 선포하고, 다른 이들에게도 이같이 할 것을 권면하며, 서로서로 그들이 한 일들에 대해 적합한 보답을 주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직장에서 줄을 서는 데서부터 시작해 삶의 모든 측면들을 건드린다.
  • 이 같은 정직함은 더 이상 사회적으로 통상적이지 않다. 이는 문화적으로 굳어진 권력 구조와 견고히 확립된 행동규범들에 대항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들은 무관심이나 심지어는 적개심으로 반응할 것이다.

이에 따라서, 교회들이 그리스도를 닮은 진실됨과 겸손한 섬김보다는 연고주의, 뇌물 수수, 심지어 협박 등에 연루되는 유혹을 받게 된다.

그러나, 거룩함은 우리가 복음을 전파하는 데 있어 필수적이다. 하나님은 우리의 속 사람으로부터 진리를 찾으시지만, 우리는 모두 죄인이며 그에 미치지 못한다. 이것이 우리가 외부로부터, 불경건한 자들을 의롭게 하시는 그리스도의 속죄하는 역사를 필요로 하는 이유이다. 이것을 알리기 위해서는 반드시, 교회가, 그리고 개개인의 그리스도인들이, 주변 문화에 순응하라는 압박에 대항해야 하고, 대신 하나님의 나라와 그분의 공의를 구해야 한다.

진리를 위하여 이 같이 위험한, 문화에 반하는 공개적 저항이 실제로 있어 왔다:

  • 내전 동안에, 교회는 지속적으로 종족간의 평화를 옹호하였다.
  • 1983년 폭동이 수백 명의 타밀족을 길거리로 내몰았을 때, 교회들이 문을 열고 그들의 거처를 제공해 주었다.
  • 성공회 콜롬보 주교는사회, 정부 차원의 투명성과 책무가 줄어들고 있는 최근의 동향을 감안하여 기도의 날을 소집하였다.

신할라 불교 민족주의

LTTE 타도에 뒤이어, 신할라 민족주의는 스리랑카를 dharmarajya – 정의의 불교 국가 – 로 만들기 위한 급증하는 전투적 움직임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신할라 불교 신화는 부처가 친히 그 섬을 방문하여 성스럽게 만들어 부처의 상으로 만들었다고 역설한다. 모든 불교도들은 이 우상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

불교 승려들은 그들의 예배와 생활 방식을 전국적 지령으로 만들고, 그 외의 종교들은 소외시키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정치에 가담해오고 있다:

  • 2004년, Jathika Hela Urumaya (JHU) (National Heritage Party) – 불교 승려들이 이끄는 정당 – 에서 반 회심 법안을 제출했다.
  • 사람들이 종교를 바꾸도록 ‘꾀는’ 것 ‘장려’ 금지를 가장하여, 그 법안은 크리스천 인도주의적 원조를 법률로 금지하였고, 그리스도인들을 근거 없는 ‘불법 꾀임’이라는 주장을 들어 괴롭히도록 만들 수 있었을 것이었다. 하지만, 그 법안은 보류되었다.

2005년, JHU는 Mahinda Rajapaksa 대통령 정부의 일환이 되었다. 정치적 행동주의 안에서의 그들의 역할은 Bodu Bala Sena (BBS) (Buddhist Power Force)가 담당하게 되었으며, 이는 그리스도인들과 무슬림들 모두에 대한 폭력과 협박을 포함한다.

이 같은 불교 민족주의적 공격은 정부 각료들과 불교 성직자들에 의해 비난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BS는 종교적 경각심 가운데 세워진 민중의 민족주의를 대표하고 있다.

종교와 양심의 자유는 스리랑카 문화권에서는 당연시 여겨지지 않고 있다:

  • 신할라 불교도들은 국가적, 인종적, 그리고 종교적 정체성으로 다 함께 결부되어 있다.
  • ‘진짜’ 스리랑카인이 되는 것은 신할라 불교도가 되는 것이다;  ‘이방인’이나 사회적 약자가 아닌, 불교 문화의 우월함을 위협하지 않는 한 누구나 환영 받는다.
  • 불교 우위에 대한 그 어떤 도전 – 누군가에게 종교를 바꾸도록 제안하는 것 같은 – 도 불교 종교, 신할라 민족 정체성, 그리고 스리랑카 국가에 대한 공격으로, 삼중 배반의 행위이다.
  • ‘인권’ 또는 ‘민주주의’를 내세워 이것에 맞서고자 하는 시도들은 ‘기독교 서구’가 스리랑카를 ‘재 식민지화’ 하려 한다는, 그래서 이러한 개념들은 교회들이 착한 스리랑카 불교도들을 서구화된 기독교인들로 변하도록 꾀거나 조종하여 이 새로운 제국주의를 확산시킬 수 있도록 준비하는 역할을 한다는 편견만을 강화시킬 뿐이다.

이러한 반 기독교적 종교, 문화적 지배에 대한 최선의 반응은 신약 성경에 나오는 경건한 시민의 본보기를 따르는 것이다: 우리 스리랑카인의 국가 정체성 위에 온전히 살되, 그리스도께 대한 우리의 믿음을 타협하지 않는 것:

  • 그리스도는 창조주 하나님이시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의 삶의 방식은 우리의 창조된 모습에 일치한다. 따라서 그것은 명백하게 가장 좋은, 가장 건강한, 그리고 가장 조화된 삶의 방식일 것이다.
  • 그것은 또한 어떠한 문화와도 최선의 가장 건강한 요소들과 조화를 이룰 것이다 – 스리랑카의 신할라 불교 문화를 포함하여. 전통적인 스리랑카의. 그리고 불교의 문화 대부분의 요소들은 성경적인, 기독교적 가치들과 배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독교와 불교 둘 다 모두 가정, 교육, 그리고 종교적 헌신을 가치롭게 여긴다.

서구 제국주의 규탄에 맞서 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은 전통적인 스리랑카 불교에서도 타락이라고 간주하는 성적 난잡함, 성행하는 낙태, 사치성 부와 낭비하는 소비 행태 등과 같은 현대 서구 문화 안의 반 기독교적 측면들을 드러내고 비판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사도 바울이 그러하였듯, 우리 또한 채식주의와 같은 문화적 관습을 받아들임으로써 모든 사람에게 대하여 모든 것이 될 수 있겠다.

복음주의적 부흥

20세기 초기에서 중기 사이에, 신학적 자유주의가 주류 교단 교회들로부터 그들의 복음주의적 활기를 빼앗아 버렸다. 저해된 그 복음은 그리스도의 유일성에 대한 어떤 의미도 거절하였고 따라서 기독교는 단순히, 사람들이 불교, 힌두교, 또는 이슬람교 가정에 태어났기 때문에 그 종교를 가지게 된 것처럼 기독교 가정에 태어나 가지는 전통적 종교가 되어 버렸다. 기독교는 따라서 스리랑카 문화에 아무 해가 되지 않게 되었고, 그리스도가 유일한 구원자이며 주라고 선포하지 않던 한 교회는 태평할 수 있었다.

20세기 후반 국제 복음 부흥 운동이 스리랑카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데 이는 주로 Assemblies of God[2], Island Gospel League – India Gospel League[3]의 교파 – 그리고 Gospel For Asia.[4]

같이 교단에 속하지 않거나 신생인 교단의 독립적 복음전도의 증가로 인해 일어났다.

이러한 새로운 교회들과 움직임들은 많은 지역적 반대에 직면하는데, 주로 그들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 사람들이 실제로 그리스도인들이 되어 가는 것이다:

  • 그들의 참신함은 그들을 더더욱 서구 제국주의 집단으로 보여지게끔 만든다.
  • 전통 교단 구조나 책임감, 교리적 기준의 부재는 그들로 부실 운영, 개인 숭배, 거짓 가르침 등에 취약하게 만들고 말았다.

이런 교회들은 분명히 복음적 활기를 띠고 있고, 그들은 신학적 정통성 안에서 참고 견딜 수 있도록 도움이 필요한 것이다. 이런 도전은 새로운 것이 아닌 것이, 대부분의 신약 성경의 서신서들이 쓰여지게끔 한 똑 같은 문제인 것이다.

최근 들어, 기존 교회들이 복음주의적인 교회 개척 시도들을 시작하면서 이러한 새로운 움직임들을 따라잡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들은 신학과 교회 문화의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 모든 주류 개신교 교단들은 그들의 사역자들을 Theological College of Lanka[5]에서 훈련시킨다. 이 대학은 여전히 신학적 자유주의의 잔여 영향권 아래 있고, 따라서 언제나 성경적 깊이와 복음주의적 열정을 권면하는 것은 아니다.
  • 주류 교회들은 그들이 복음 전도를 하지 않는 이상 오랫동안 문화적으로 용납 받으며 지내왔다. 만약 그들이 그리스도를 유일한 구세주로 선포하기 시작한다면, 이 문화적 안전 지대를 잃게 될 것이며, 신생 교회들과 똑 같은 반대에 고통 받을 것이다. 문제는 그들의 사역자들과 평신도 지도자들, 그리고 회중들이 그렇게 할 용기와 확신이 있는지의 여부이다.

스리랑카의 교회 지도자들은 이러한 도전들에 대해 잘 알고 있다:

  • National Christian Evangelical Alliance of Sri Lanka (NCEASL)[6]와 같은 단체들은 신생 교회들이 유대감과 신학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 Lanka Bible College[7]와 Colombo Theological Seminary[8]는 복음주의를 표방하는 초교파 대학들이며, 모든 교회들의 성경적-신학적 깊이를 향상시키고, 복음 중심의 교회, 사역자, 복음전도자들을 서로 연결해 주기를 추구하고 있다.
  • International organisations like Langham Partnership[9]같은 국제 단체들은 신학 장학금과 가르침에 투자하고 있다.
  • Ajith Fernando[10]과 Vinoth Ramachandra[11]는 현재 국제적인 위상을 지닌 스리랑카인 신학자들이다.

따르는 영향

스리랑카 교회들을 마주하는 많은 쟁점들은 다른 나라들과는 조금 다른 형태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므로 스리랑카의 상황으로부터 배울 점들이 있다:

  • 우리는 결코 사회적으로 ‘정상적인’ 사고와 행동 방식이라 가장하여 교회에 침투해 오는 세상의 능력을 과소 평가 해서는 안 된다. 하나님 나라가 그것들에 도전한다. 교회와 각 그리스도인들은 말씀을 깊이 묵상하여 우리의 본능적인 사고와 행동 방식이 세상의 방식이 아닌 하나님 나라에 부응하도록 해야 한다.
  • 비기독교 종교의 정체성 형성 능력은 특별히 민족주의와 동맹하였을 때, 종종 서구 방식의 교육의 효과를 압도하곤 하는데, 이는 특별히 식민지로부터 독립 후의 모든 ‘서구적’인 것이 해산되는 상황에서 일어난다.
  • 신실한 교회가 그러므로 ‘십자형’이 될 것이다: 세상을 하나님의 방법으로 사랑하고 거룩함을 멸시하는 비이성적인 세상의 증오에 고난 받는 것. 교회는 그리스도를 우주적인 주로 선포하고 그에 따라 핍박을 받을 것이다. 교회는 하나님의 방법으로 문화에 역행하며 살 것이고 그로 인해 핍박받을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 교회는 ‘샬롬’을 시작할 것이고 따라서 문화와 사회를 축복할 것이다. 그러나, 죄의 존재가 이러한 평화가 전쟁을 만날 것임을 뜻한다.

제안되는반응들

스리랑카의 그리스도인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에 더하여, 그리스도인들은 전 세계적으로:

  • Lanka Bible College, Colombo Theological Seminary 그리고 Youth for Christ[12]같은 복음주의적 초교파 사역들, Langham과 같은 스리랑카 교회에 자원을 제공하기 원하는 국제 단체들을 지원할 수 있다.
  • 교회나 교단의 연결 고리를 사용하여 떠오르는  스리랑카의 교회 지도자를 알아보고 이 같은 사역에 협력하여 그들의 훈련과 교육에 투자할 수 있다.
  • 이러한 연결고리를 사용하여 교회 개척, 청소년 사역, 학교와 학생 사역 같은 스리랑카의 사역들과 장기적 협력을 확립할 수 있다.
  • 개인적으로 그리고 그들의 사역 리더십 안에서 지속적인 경건함을 보여 주고 같은 투명성과 책임을 그들이 후원하는 사람들에게 요구하며, 그리고
  • 스리랑카 교회 지도자들을 초청하여 그들의 통찰력과 배운 바를 나눌 수 있도록 하여 진실된 교제를 권면할 수 있다.

Endnotes

  1. http://www.nytimes.com/2014/02/05/world/asia/new-inquiry-on-sri-lanka-points-to-possible-war-crimes.html and  http://www.piac.asn.au/news/2014/02/new-evidence-war-crimes-sri-lankan-civil-war.
  2. http://worldagfellowship.org/fellowship/countries/wagf-participating-member-s-z/sri-lanka/
  3. http://www.iglworld.org/
  4. http://www.gfa.org/regions/country/sri-lanka/
  5. http://www.tclsl.org/
  6. http://nceasl.org/
  7. http://www.lbcs.edu.lk/
  8. http://www.cts.lk/
  9. http://langham.org/
  10. http://www.cityofgodblog.com/2013/04/just-who-is-ajith-fernando/
  11. http://vinothramachandra.wordpress.com/
  12. http://www.yfci.org/